2024년 6월 10일 월요일

크리스토퍼 맥두걸, <본투런>

 

오늘의 문단

타라우마라 족의 땅에는 범죄도 전쟁도 도둑도 없다고 한다. 부패, 비만, 약물 중독, 탐욕, 가정 폭력, 아동 학대, 심장병, 고혈압, 매연도 없다. 이들은 당뇨병이나 우울증에 걸리지 않으며 심지어 늙지도 않는다. 오십 대도 십 대보다 빨리 뛸 수 있고 여든 살 노인이 산중턱에서 마라톤 거리를 달릴 수 있다고 한다. 암 발생 사례는 거의 찾을 수 없다. (…) 타라우마라 족은 지구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행복한 종족일 뿐만 아니라 가장 강인한 종족이다. p. 24-5  

 

 

 

달리기의 기쁨을 그간 모르지 않았다. 

초원만 보면 달리고 싶은 충동이 올라왔었다. 

푸른 잔디, 그것이 천연이든 인조이든, 넓고 푸른 곳은 달리라고 조성된 곳이다. 

내 심장은 달리기의 기쁨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올해 초 42.195 풀코스를 뛰고 나니 또 다른 세계가 있었다. 

질주본능은 속도에 대한 집착이라면, 지금의 달리기는 영성 훈련의 장이다. 

 

지인의 책장에 꽃혀 있던 본투런은 항상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표지도 예쁘지만, 제목이 가슴을 뛰게 한다. 

뛰는 존재로 태어난 인간. 

뛰기 위해 태어난 인간. 

달리는 것은 인간의 본질의 영역에 속한다고 강변한다. 

점점 그 말에 동의하기 시작했다. 

부상당하지 않고 점점 더 멀리 그리고 점점 더 빠르게 뛸 수 있는 존재가 되어가는 기쁨이 있다. 

달리면서 몸의 여러 기능들을 살피며 집중한다. 

호흡, 몸의 각도, 다리의 각도, 착지 순간의 발의 모습, 케이던스, 심박… 

리듬을 유지하며 몸의 각 부위의 연결성을 살핀다. 

그렇게 뛰는 존재로 거듭난다. 

예전엔 기도하면 뛰었는데, 지금은 달리기 자체가 기도가 된다. 

몸을 단련하고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 끊임없는 나와의 싸움,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추구, 이 모든 것은 나를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임을 기억하는 순간들… 

달리기가 기도가 되어 다시 내게 돌아온다. 

 

오늘도 10km 존2 달리기를 시도했지만, 결국 속도가 제어가 되지 않았다. 

천천히 달리기로 맘을 먹었지만, 어느 순간 스피드를 제어하지 못했다. 

실패. 

그래도 괜찮다. 

내일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