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중고등학교를 같이 다닌 친구에게 전화가 왔다. 지역 교회 청소년부 부장집사인 그는 이번 여름 청소년부 수련회에서 저녁 집회 설교를 해달라고 몇 달 전에 부탁을 했었다. 이번 통화는 그 후속 통화였다. 친구는 요즘 그 교회 청소년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어떤 신앙적 고민을 하고 있는지 꼼꼼하게 설명했다. 그리고는 회심이라는 주제로 설교를 준비해주길 부탁했다. 그는 요사이 보기드문 부장집사님이다.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그와의 통화로 인해 수련회를 기대하는 마음이 더욱 커지고, 참가할 학생들에게 최선의 것으로 대접하고 싶은 열망이 속에서부터 올라왔다.
책을 들었다. 안식월 복귀후 사무실 책상에 놓여 있었던 책은 조장호님의 “오늘을 위한 아우구스티누스 인생 수업”(IVP)이었다. 잠깐만 읽어도 명료하고 유려한 문체에 쉽게 몰입이 되었다. 번역서가 아닌 한국인 저자의 힘이다.
회심이라는 주제가 머리 속에 박혀 있으니, 그의 책을 읽을 때도 그 주제와 관련된 내용들이 쏙쏙 들어왔다.
“회심은 궁극적으로 사랑하고 열망하는 대상이 바뀌는 것이며, 사람의 전 존재를 움직이는 중심은 바로 사랑이다. 이 점에서 선생은, 지식과 앎을 앞세웠던 그리스・로마 철학의 지성주의(intellectualism) 경향과 달리, 의지와 사랑을 통해 인간 존재의 역동을 정확하게 집어낸다.”(p.32)
저자는 신앙의 거대한 봉우리인 아우구스티누스의 많은 이야기 속에서 회심이라는 주제를 강조한다. 회심은 사랑과 열망의 대상이 바뀌는 거란다. 그리고 사람의 존재 중심은 다름 아닌 사랑이란다. 오래전부터 들어왔고, 관련된 설교도 수십차례 해 왔지만, 오늘따라 다시 눈에 들어오고 마음에 남는다.
그렇다. 회심은 일차적으로 인간 존재 중심에 있는 사랑과 열망이 바뀌는 것이다. 거기에 머물지는 않는다. 사랑과 열망이 인간의 왜곡된 의지를 변화시킨다. 아는 것, 지식만으로는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 사랑의 대상, 열망의 방향이 바뀌어 의지가 발동하여 그 대상과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열의가 느껴진다.
“사랑이 건강한 질서를 되찾아 영원하신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기려는 의지의 변화가 온 것이다.”(p. 101)
사랑의 변화, 의지의 변화만으로도 회심이 다 설명되지는 않는다. 결국 구제적인 행동의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 회심이다. 후회하고도 다르다. 뉘우침, 용서를 빔, 잘못 인정 등과도 다르다. 회심은 사랑과 열망의 방향을 틀어 그 방향으로 한 걸음 내딛는 일까지 포함한다. 행동의 변화까지 회심이다.
우연히 발견한 책에서 좋은 힌트, 필요한 통찰을 얻는다. 나에겐 이런 것이 은혜다. 생각지 못한 일, 사건, 자료, 만남을 통해 고민의 단초가 연결되고 풀어진다. 오늘도 우연히 발견하고 읽게 된 이 책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누린다.
'이달의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소연, 마음 깊은 숨 (0) | 2025.03.27 |
---|---|
김혜령, "죽을 때까지 유쾌하게" (0) | 2025.02.06 |
"생명" 니제이 굽타의 <신약 단어 수업> 중 (2) | 2024.12.16 |
니제이 굽타/ 신약 단어 수업 (2) | 2024.10.29 |
정여립의 대동사상 (2) | 2024.10.18 |